반응형
별미춘천닭갈비
![](https://blog.kakaocdn.net/dn/bMz2em/btsrwzJJyl5/fdvhPz8O0qk2kkBJjiXy70/img.jpg)
- 별미춘천닭갈비
053-323-2818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암로38길 29-31
대구에 위치한 지역주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닭갈비 전문점이다.
기본 닭갈비 외에도 낙지 닭갈비와 주꾸미 닭갈비를 맛볼 수 있다.
매운맛 조절이 가능하며 포장도 가능하다.
◎ 주위 관광 정보
⊙ 함지근린공원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92/2744892_image2_1.jpg)
- 홈페이지
https://www.buk.daegu.kr/tour/index.do?menu_id=00002425&menu_link=front/tour/bukguTourViewListDetail.do?comm_code_id=COMM_00132&data_seq=10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암로38길 12 (구암동)
함지공원은 대구 북구 8경 중 제6경이다. 이곳은 대구 북구에서 가장 큰 규모의 생활공원이다. 다양한 조경 시설을 비롯해 여름철 개장하는 물놀이 시설, 어린이를 위한 포토존 토피어리 등 즐길 거리가 다채롭다. 함지근린공원은 무엇보다 전국 최초의 치매 예방 기억공원으로 유명하다. 공원 곳곳에 치매 관련 정보와 더불어 '거꾸로 말하기', '순서대로 찾기' 등의 인지 활동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 이태원길(대구)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29/2676329_image2_1.bmp)
- 홈페이지
https://www.hbcf.or.kr/front/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
문화예술거리 이태원길은 칠곡의 천재 소설가 이태원을 기리는 문화예술거리로, '이태원길'은 특색적인 문화자원으로 관광화하여 북구의 대표 거리로 육성하고자 조성되다. 소설가 이태원을 중심 콘텐츠로 삼은 '이태원길'에서는 그의 생애를 볼 수 있는 '문학관'과 그의 소설 '객사'를 각색한 거리극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거리 활성화를 위한 '초청공연','예술장터'등을 마련하여 시민들에게 즐거운 경험과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하고자 한다.
⊙ 옻골동산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02/2751502_image2_1.jpg)
- 주소
대구 북구 구암동 산 4
옻골동산은 옻골공원이라고도 부른다. 지난 2001년 건설폐기물 처리시설 용도로 지정됐지만, 사업이 무산되면서 도심 속 공원으로 탈바꿈했다. 옻골동산이 있는 자리는 원래 황량한 땅이었지만 현재는 축구장, 다목적구장, 음수대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인근 함지산에서 옻골동산으로 넘어오는 등산 코스가 있어 등산객들의 방문이 잦다. 특히 공원으로 들어가는 초입에 은행나무 가로수길이 멋지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 운암지 수변공원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64/1574364_image2_1.jpg)
- 홈페이지
http://www.buk.daegu.kr/tour/index.do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구암동)
북구 8경 중 제3경으로 함지산으로 둘러있어 주변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칠곡3지구 택지개발로 이용가치가 없어진 저수지를 자연 그대로 보전하면서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환경 친화적으로 조경을 하였다. 공원내부에는 분수, 수변무대, 산책로, 놀이시설, 계류, 체육시설, 파고라, 정자 등을 갖추고 있어 칠곡지역 주민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데크시설도 확장하고 생활공원과 유아숲체험원을 잇따라 개장해서 더욱 나들이 명소로 각광 받고 있다.
⊙ 칠곡향교(대성전)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18/1574418_image2_1.jpg)
- 홈페이지
http://www.buk.daegu.kr/tour/index.do
http://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597
조선왕조가 유교 이념을 수용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에 설치한 중등 과정의 교육기관이었다. 고려시대부터 세워졌으나 성행하지 못하다가 조선시대 태조(太祖) 즉위 초 문풍 쇄신을 하면서 인재 양성의 요람이 되었다. 전국 각 주(州)·부(府)·군(郡)·현(縣)에 각각 1개씩 설립 운영되면서 빛을 발했던 향교는 임진왜란 이후 사학 서원이 들어서면서 점차 퇴색했다. 마침내 한 읍(邑)에 하나의 향교만 남게 되었는데, 칠곡향교도 그 하나이다. 칠곡향교 대성전은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고증 할 수 있는 상세한 문헌이 없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시대 인조 20년, 경진년(1642년)에 건축되었다. 현재 대구광역시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매년 음력 2월 상정일, 8월 상정일에 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奉行)하며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분향례(焚香禮)를 올리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서무(東·西廡)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1894년(고종31) 이후 과거제도 폐지와 함께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졌다가 근래와 와서 교육적 기능을 되살려 학생과 일반인들을 위한 충효교육의 장으로 유교경전, 서예, 향사례, 다례 등 전통문화 계승 발전의 산실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향역은 1980년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직할시로 편입됐다가 현재는 대구광역시 향교재단으로 소속되어 있다. 칠곡향교에서는 2013년 3월 전통문화체험관 개관과 함께 지역민을 위한 교화사업으로 교양강좌 및 전통문화체험과 전통혼례, 인성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 구천서원(대구)
- 홈페이지
http://www.buk.daegu.kr/tour/index.do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로21길 41
1701년(숙종 27)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맹지(朴孟智)·양관(梁灌)·표연말(表沿沫)·강한(姜漢)·양희(梁喜)·하맹보(河孟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 훼철되었다. 그뒤 후손들이 불망계(不忘契)를 조직, 구천재와 유허비를 세워 헌례(獻禮)를 올려오다가, 1983년 복원하고 양홍주(梁弘澍)를 추가 배향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 국우동 탱자나무
![](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90/2366090_image2_1.jpg)
- 홈페이지
http://www.buk.daegu.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길 45-7 (국우동)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에서 지방도를 따라 동북으로 약 3km가면 국우동에 이르는데 이 마을 685번지 배종현씨 댁 뒷뜰에 옛날 생울타리로 심었던 듯한 수령 400년에 가까운 탱자나무가 3그루 서 있다. 그 중 맨 서쪽 언덕배기의 1그루는 지면 가까이에서여러갈래로 나눠졌는데 둥치 밑둘레가 1.7m에 이른다.맨 동쪽에 서 있는 1그루는 둥치 밑둘레 1.5m에 지상 0.7m높이의 원둥치 둘레 0.65m이고 가지는 동으로 6m, 서로 2.3m,남으로 6m, 북으로 4.4m뻗어있다. 나무 높이는 3~5m정도이다.
⊙ 구암동 고분군
- 홈페이지
https://www.buk.daegu.kr/tour/index.do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구암동)
* 삼국시대 대규모 고분군, 구암동 고분군 *
구암동 고분군은 함지산의 서쪽 산록에 입지하여 금호강의 갈래인 팔거천이 흐르는 팔거평야를 바라보는 곳에 위치한다. 고분군이 분포하는 능선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고 경사가 심한 편이며 구릉의 능선 위에는 대형분이, 경사면 일대에는 소형분이 입지하여 총 379기가 분포하고 있는 대규모 고분군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신라·가야 고분에서 무덤 구조가 특이한 구암동 고분군의 특징 *
첫째, 봉분을 적석으로 만들고 매장주체부는 석곽으로 축조한 적석석곽분이라는 특이한 구조가 확인된다.
둘째, 한 봉분 내에 여러 매장주체부가 축조되는 연접방식의 축조가 확인된다.
셋째, 매장주체부는 수혈식 석곽으로 주곽과 부곽이 ‘11’자 형태를 이루는 양상이 확인된다.
![](https://tistory3.daumcdn.net/tistory/3992708/skin/images/img_opentype01.png)
반응형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달서구] 취팔선 (0) | 2023.08.26 |
---|---|
[대구 북구] 국수마을 (0) | 2023.08.23 |
[대구 군위군] 카페우즈 (0) | 2023.08.05 |
[대구 군위군] 기러기농장가든 (0) | 2023.08.05 |
[대구 군위군] 카페스톤 (0) | 2023.08.05 |